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는 핀란드 4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브라질이 스페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아르헨티나가 3위를, 콜롬비아가 4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여 최종 11위를 기록했다. 세스크 파브레가스가 골든볼과 골든슈를 수상했고, 코스타리카가 페어 플레이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청소년 축구 -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200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랍에미리트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브라질이 스페인을 꺾고 우승했으며, 에디 존슨이 골든슈, 이스마일 마타르가 골든볼을 수상했다. - 핀란드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22년 UEFA 슈퍼컵
2022년 UEFA 슈퍼컵은 2021-22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레알 마드리드와 2021-22년 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간의 단판 승부로, 레알 마드리드가 승리하여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카제미루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고, 원래 러시아 카잔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헬싱키로 개최지가 변경되었다. - 핀란드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노르딕 축구 선수권 대회
노르딕 축구 선수권 대회는 덴마크 주도로 시작되어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아이슬란드, 페로 제도의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축구 대회이며 스웨덴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FIFA U-17 월드컵 |
연도 | 2003 |
다른 명칭 | Jalkapallon alle 17-vuotiaiden maailmanmestaruuskilpailut 2003 U17-världsmästerskapet i fotboll 2003 |
![]() | |
개최국 | 핀란드 |
기간 | 2003년 8월 13일 – 8월 30일 |
참가 팀 수 | 16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4 |
도시 수 | 4 |
결과 | |
우승 | 브라질 |
우승 횟수 | 3 |
준우승 | 스페인 |
3위 | 아르헨티나 |
4위 | 콜롬비아 |
통계 | |
경기 수 | 32 |
총 득점 | 117 |
총 관중 | 183616 |
득점왕 | 카를로스 다니엘 이달고 마누엘 쿠르투 세스크 파브레가스 (각 5골) |
최우수 선수 | 세스크 파브레가스 |
페어플레이상 | 코스타리카 |
대회 역사 | |
이전 대회 | 2001 |
다음 대회 | 2005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는 핀란드의 4개 도시(헬싱키, 투르쿠, 탐페레, 라흐티)에서 개최되었다.
도시 | 경기장 | 비고 | |
---|---|---|---|
헬싱키 | 핀에어 스타디움 | 퇼뢰 스타디움 | |
투르쿠 | 베리타스 스타디온 | 투르쿠 스타디움 | |
탐페레 | 라티난 스타디온 | 라티나 스타디움(탐페레 스타디움) | |
라흐티 | 라흐덴 스타디온 | 라흐티 스타디움 | |
![]() | ![]() | ![]() |
3. 본선 진출 팀
연맹 예선 본선 진출 팀 AFC (아시아) 2002년 AFC U-17 챔피언십 대한민국, 중국, 예멘 CAF (아프리카) 2003년 아프리카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카메룬,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CONCACAF (북중미&카리브) 2003년 CONCACAF U-17 토너먼트 코스타리카, 미국, 멕시코 CONMEBOL (남아메리카) 2003년 남아메리카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OFC (오세아니아) 2003년 O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UEFA (유럽) 2003년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 포르투갈, 스페인 개최국 핀란드
4. 선수 명단
각 팀별 선수 명단은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선수 명단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5. 조별 리그
각 조 1, 2위 팀이 8강에 진출했다.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 (EEST/UTC+3) 기준이다.
8강전에는 A조에서 콜롬비아와 멕시코가, B조에서 아르헨티나와 코스타리카가, C조에서 브라질과 포르투갈이, D조에서 스페인과 미국이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D조에서 1승 2패로 3위를 기록하여 탈락했다.
5.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3 | 2 | 1 | 0 | 11 | 2 | +9 | 7 | |
3 | 1 | 2 | 0 | 5 | 3 | +2 | 5 | |
align="left" | | 3 | 1 | 0 | 2 | 3 | 12 | -9 | 3 |
align="left" | | 3 | 0 | 1 | 2 | 5 | 7 | -2 | 1 |
- 2003년 8월 13일, 헬싱키 핀에어 스타디움:
- * 핀란드 2 - 1 중국 (파리카 , 페트레스쿠 ; 장천 )
- * 멕시코 0 - 0 콜롬비아[1]
- 8월 16일, 헬싱키 핀에어 스타디움:
- * 중국 1 - 2 콜롬비아 (왕융포 ; 과린 , 에르난데스 )
- * 핀란드 0 - 2 멕시코 (세하 , 에레라 )[2]
- 8월 19일, 헬싱키 핀에어 스타디움:
- * 중국 3 - 3 멕시코 (왕융포 , 장천 ; 플로레스 , 마리아카 , 무르기아 )
- * 콜롬비아 9 - 1 핀란드 (이달고 , 라모스 , 과린 , 누녜스 ; 페트레스쿠 )
콜롬비아와 멕시코가 8강에 진출했고, 핀란드는 조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5. 2. B조
일시 (현지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득점 선수 |
---|---|---|---|---|---|
2003년 8월 13일 17:30 | 아르헨티나 | 2 – 0 | 오스트레일리아 | 베리타스 스타디온, 투르쿠 | 가라이 콜세라 |
2003년 8월 13일 20:00 | 코스타리카 | 1 – 1 | 나이지리아 | 베리타스 스타디온, 투르쿠 | 아리아스 발라 |
2003년 8월 16일 15:00 | 오스트레일리아 | 1 – 2 | 나이지리아 | 베리타스 스타디온, 투르쿠 | 지랄디 미켈 발라 |
2003년 8월 16일 17:30 | 아르헨티나 | 2 – 0 | 코스타리카 | 베리타스 스타디온, 투르쿠 | 페이로네 페이로네 |
2003년 8월 19일 17:30 | 나이지리아 | 0 – 1 | 아르헨티나 | 베리타스 스타디온, 투르쿠 | 파우를린 |
2003년 8월 19일 20:00 | 오스트레일리아 | 0 – 2 | 코스타리카 | 베리타스 스타디온, 투르쿠 | 로드리게스 살라사르 |
5. 3.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3 | 2 | 1 | 0 | 9 | 1 | +8 | 7 | |
3 | 1 | 1 | 1 | 9 | 13 | -4 | 4 | |
align="left" | | 3 | 0 | 3 | 0 | 7 | 7 | 0 | 3 |
align="left" | | 3 | 0 | 1 | 2 | 4 | 8 | -4 | 1 |
- 2003년 8월 14일 17:30
: 3 – 4 [1]
: 라티난 스타디온, 탐페레 (관중: 6,400명)
: 득점
:: 예멘: 알바다니 , 샤리얀 , 마르시우 소자
:: 포르투갈: 마르시우 소자 , 쿠르투 , M. 페르난드스 , 알사피
- 2003년 8월 14일 20:00
: 1 – 1 [2]
: 라티난 스타디온, 탐페레 (관중: 8,250명)
: 득점
:: 카메룬: 마와예
:: 브라질: 아부다
- 2003년 8월 17일 15:00
: 0 – 5
: 라티난 스타디온, 탐페레 (관중: 10,190명)
: 득점 (브라질)
:: 레우 , 아부다 , 이데르송 , 이반드루 , 치아구
- 2003년 8월 17일 17:30
: 1 – 1
: 라티난 스타디온, 탐페레 (관중: 6,855명)
: 득점
:: 예멘: 주아임
:: 카메룬: 마와예
- 2003년 8월 20일 17:30
: 3 – 0
: 라티난 스타디온, 탐페레 (관중: 5,896명)
: 득점 (브라질)
:: 이반드루 , 아로카
- 2003년 8월 20일 20:00
: 5 – 5
: 라티난 스타디온, 탐페레 (관중: 4,723명)
: 득점
:: 포르투갈: 비에이리냐 , 쿠르투 , 가마
:: 카메룬: T. 코스타 , 은갈 , 은게모 , 음비아
5. 4.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스페인 | 3 | 2 | 1 | 0 | 8 | 5 | +3 | 7 |
미국 | 3 | 2 | 0 | 1 | 8 | 4 | +4 | 6 |
대한민국 | 3 | 1 | 0 | 2 | 6 | 11 | -5 | 3 |
시에라리온 | 3 | 0 | 1 | 2 | 6 | 8 | -2 | 1 |
일시 | 경기 | 관중 | ||
---|---|---|---|---|
2003년 8월 14일 17:30 | 대한민국 | 1 – 6 | 미국 | 3,240명[1] |
Dwight Owens|드와이트 오언스영어 (자책골 11) Freddy Adu|프레디 아두영어 (16, 89, 90+2 페널티킥) Dwight Owens|드와이트 오언스영어 (26) Jamie Watson|제이미 왓슨영어 (54) Steven Curfman|스티븐 커프먼영어 (75') | ||||
2003년 8월 14일 20:00 | 스페인 | 3 – 3 | 시에라리온 | 3,150명[2] |
David Rodríguez Sánchez|다비드 로드리게스 산체스es (8) Sisinio González Martínez|시시니오 곤살레스 마르티네스es (15) Francisco "Xisco" Nadal|시스코 나달es (90+6) Samuel Barlay|새뮤얼 발레이영어 (34, 73) Manuel Ruz Muñoz|마누엘 루스 마뇨스es (자책골 36) | ||||
2003년 8월 17일 15:00 | 미국 | 2 – 1 | 시에라리온 | 4,950명 |
Guillermo González|길레르모 곤잘레스영어 (45 페널티킥) Freddy Adu|프레디 아두영어 (89) Alimamy Sesay|알리마미 시세이영어 (32') | ||||
2003년 8월 17일 17:30 | 대한민국 | 2 – 3 | 스페인 | 3,470명 |
양동현 (45) Sergio Sánchez Ortega|세르히오 산체스 오르테가es (자책골 59) David Silva|다비드 실바es (65, 73, 76') | ||||
2003년 8월 20일 17:30 | 시에라리온 | 2 – 3 | 대한민국 | 2,475명 |
Obi Metzger|오비 메츠거영어 (36, 51) 한동원 (28) 양동현 (74) 이용래 (78') | ||||
2003년 8월 20일 20:00 | 미국 | 0 – 2 | 스페인 | 3,825명 |
José Manuel Jurado|호세 마누엘 후라도es (11) Cesc Fàbregas|세스크 파브레가스es (70) |
모든 경기는 라흐덴 스타디온 (라흐티)에서 진행되었다.
6. 결선 토너먼트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콜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스페인이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브라질과 스페인이 각각 콜롬비아와 아르헨티나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콜롬비아를 승부차기 끝에 이기고 3위를 차지했고,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스페인을 1-0으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6. 1. 8강전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8강전에서는 콜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스페인이 4강에 진출했다.경기일 | 시간 | 경기장 | 팀 1 | 득점 | 팀 2 | 관중 수 | 주심 |
---|---|---|---|---|---|---|---|
2003년 8월 23일 | 14:00 | 핀에어 스타디움, 헬싱키 | 2 – 0 | 2,340명 | 에디 메예 (세이셸) | ||
2003년 8월 23일 | 18:00 | 라흐덴 스타디온, 라흐티 | 2 – 0 | 5,030명 | 에릭 브람하르 (네덜란드) | ||
2003년 8월 24일 | 14:00 | 베리타스 스타디온, 투르쿠 | 3 – 0 | 6,150명 | 마르틴 한손 (스웨덴) | ||
2003년 8월 24일 | 18:00 | 라티난 스타디온, 탐페레 | 5 – 2 | 5,387명 | 가브리엘 브라세나스 (아르헨티나) |
- '''콜롬비아'''는 오탈바로의 두 골(25', 43')로 '''코스타리카'''를 2-0으로 꺾었다.
- '''아르헨티나'''는 카르도소(34')와 페이로네(45')의 골로 '''멕시코'''를 2-0으로 이겼다.
- '''브라질'''은 레오나르두(18'), 이데르송(61'), 이반드루(64')의 연속골로 '''미국'''을 3-0으로 완파했다.
- '''스페인'''은 산체스(28'), 파브레가스(42', 78'), 시스코(50'), 후라도(90+4')의 골로 '''포르투갈'''을 5-2로 제압했다. 포르투갈은 쿠르투(3')와 비에이리냐(87')가 골을 넣었다.
6. 2. 준결승전
2003년 8월 27일에 두 경기가 열렸다.경기 | 결과 | 장소 | 관중 수 | 주심 |
---|---|---|---|---|
콜롬비아 vs 브라질 | 2 - 0 | 탐페레 라티난 스타디온 | 7,675명 |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멕시코) |
아르헨티나 vs 스페인 | 3 - 2 (연장) | 헬싱키 핀에어 스타디움 | 5,030명 | 마르틴 한손 (스웨덴) |
- 탐페레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아부다의 두 골로 콜롬비아를 2-0으로 이겼다.[1]
- 헬싱키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스페인이 연장전 끝에 아르헨티나를 3-2로 이겼다. 아르헨티나는 비글리아와 가라이가 득점했고, 스페인은 파브레가스가 두 골, 후라도가 한 골을 넣었다. 파브레가스는 연장 119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2]
결승전에는 브라질과 스페인이 진출했다.
6. 3. 3·4위전
2003년 8월 30일 핀란드 헬싱키의 핀에어 스타디움에서 열린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3·4위전에서 아르헨티나가 콜롬비아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3위를 차지했다.[1]경기 시작 4분 만에 아르헨티나의 라고스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후반 8분 콜롬비아의 이달고가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만들었다.[1] 연장전까지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양 팀은 승부차기에 돌입했다.[1]
승부차기에서 콜롬비아는 첫 번째 키커인 누녜스와 마지막 키커인 바르가스가 실축한 반면, 아르헨티나는 마지막 키커인 파우를린을 제외한 모든 키커가 성공하며 5-4로 승리했다.[1]
이 경기는 6,4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세이셸 출신 에디 메예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1]
콜롬비아 선수 | 아르헨티나 선수 | |
---|---|---|
누녜스 (실축) | 가라이 (성공) | |
모빌 (성공) | 콜세라 (성공) | |
오탈바로 (성공) | 디아스 (성공) | |
이달고 (성공) | 포르미카 (성공) | |
과린 (성공) | 아셀 (성공) | |
바르가스 (실축) | 파우를린 (실축) |
6. 4. 결승전
2003년 8월 30일, 헬싱키의 핀에어 스타디움에서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이 열렸다. 브라질이 스페인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는데, 레오나르두가 전반 7분에 결승골을 넣었다.[1] 이날 경기에는 10,452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네덜란드의 에릭 브람하르가 주심을 맡았다.7. 우승
'''브라질'''
'''3번째 우승'''
8.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차 | 승점 |
---|---|---|---|---|---|---|---|---|---|
1 | 브라질 | 6 | 5 | 1 | 0 | 15 | 1 | +14 | 16 |
2 | 스페인 | 6 | 4 | 1 | 1 | 16 | 10 | +6 | 13 |
3 | 아르헨티나 | 6 | 4 | 1 | 1 | 10 | 4 | +6 | 13 |
4 | 콜롬비아 | 6 | 3 | 2 | 1 | 14 | 5 | +9 | 11 |
5 | 미국 | 4 | 2 | 0 | 2 | 8 | 7 | +1 | 6 |
6 | 멕시코 | 4 | 1 | 2 | 1 | 5 | 5 | 0 | 5 |
7 | 코스타리카 | 4 | 1 | 1 | 2 | 3 | 5 | -2 | 4 |
8 | 포르투갈 | 4 | 1 | 1 | 2 | 11 | 18 | -7 | 4 |
9 | 나이지리아 | 3 | 1 | 1 | 1 | 3 | 3 | 0 | 4 |
10 | 카메룬 | 3 | 0 | 3 | 0 | 7 | 7 | 0 | 3 |
11 | 대한민국 | 3 | 1 | 0 | 2 | 6 | 11 | -5 | 3 |
12 | 핀란드 | 3 | 1 | 0 | 2 | 3 | 12 | -9 | 3 |
13 | 시에라리온 | 3 | 0 | 1 | 2 | 6 | 8 | -2 | 1 |
14 | 중국 | 3 | 0 | 1 | 2 | 5 | 7 | -2 | 1 |
15 | 예멘 | 3 | 0 | 1 | 2 | 4 | 8 | -4 | 1 |
16 | 오스트레일리아 | 3 | 0 | 0 | 3 | 1 | 6 | -5 | 0 |
9. 수상
참조
[1]
웹사이트
UEFA World Cup U-17, at ''Uefa.com''
https://web.archive.[...]
[2]
뉴스
Sierra Leone players disappear
http://news.bbc.co.u[...]
BBC Sport
2003-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